본문 바로가기
보건학

1-2-1. 건강과 질병의 결정요인

by record_space 2023. 10. 30.
반응형

 건강-질병현상의 결정요인에 관한 1980년 이전의 이론들은 건강을 제외한 질병잘생의 결정요인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이는 뉴턴의 인과론을 기반으로 결정요인을 탐구하였기 때문이다. 즉, 건강현상은 일종의 natural motion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인과관계 추론 대상이 아니고, 대신 natural motion으ㅏ 변형 움직임인 질병발생 현상에 대하여 인과관계 추적을 통해 건강-질병현상 결정요인을 제시한 이론들이다.

 질병발생의 주요 결정요인을 크게 4거지 범주로 구분하고 있는데, 생물학적 요인, 환경요인, 생활습관 및 행태요인, 그리고 보건의료체계 요인이다. 한편, 생물학적 요인과 생활습관 및 행태요인과 같은 개인특이적 직접요인과, 환경요인 또는 보건의료체계 요인과 같이 피동적 노출(exposure)을 통한 간접요인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세계보건기구

 

1) 유전적 요인

 유전적 요인이 질병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보고는 많다. 그러나 유전 요인은 아직 인위적 조작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전 요인 자체를 결정요인으로 인정하지는 않는다. 더구나 독자적 내지 능동적으로 작용하는 직접적 요인일 가능성은 거의 없고, 다른 요인과의 교호작용을 통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일종의 감수성(susceptible) 요인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감수성 요인은 교호작용을 하는 다른 요인을 제어함으로써 그 효과에 간접적(또는 상관적)인 개입 가능성이 있는 경우 질병발생의 결정요인 하나로 인정한다.

 

2) 성 관련 요인

 건강-질병 현상과 수명의 성별(sex) 차이가 일관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어 성 관련 요인이 건강-질병현상 결정요인의 하나로 거론된다. 그러나 성의 생물학적 요인도 연령 증가와 같이 인위적 조작이 불가능한 요인이기 때문에 성(sex) 자체를 결정요인으로 해석하지는 않는다.

 

3) 환경 요인

 환경 요인에는 생물학적 환경, 물리·화학적 환경 및 사회적 환경이 있다. 생물학적 환경에는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과 같은 원인체와 질병을 전파시키는 파리, 모기 등의 매개체가 있으며, 물리·화학적 환경에는 고열과 한랭, 공기, 물 및 소음, 그 밖의 여러 가지 환경오염 물질이 포함된다. 건강과 관련된 사회적 환경에는 보건의료체계, 사회보장 및 의료보험제도, 고용 및 실직, 입시제도 및 교육제도, 범죄율 및 사회 안정성, 개인의 사회적 지지 정도, 지역 주민의 사회참여 정도와 의사 결정에 관여할 수 있는 권한, 새로운 보건지식을 받아들이는 주민들의 태로, 사회적 관습, 정보교환이나 의사소통의 기전과 유용성, 대중매체 등이 포함된다.

 

4)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에는 직업 유무 및 종류, 주거/직업환경, 교육수준, 재산 보유 정도, 가족상태 등이 있으며, 이 모두를 포괄하여 사회경제적 수준(socioeconomical status, SES) 등의 포괄지표로 표현하기도 한다.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직업 분류에 따른 사망 또는 이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1980년 영국에서 발표된 '블랙리포트(Black report)'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5) 생활습관 및 건강행태 요인

 생활습관 및 건강행태 요인으로는 흡연, 신체활동 및 운동, 일상생활, 음주, 식이, 자가 관리(self0care) 실천행위, 사회활동, 직접행태 등의 개인특이적 요인들이 포함되며 질병발생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6) 사회문화적 요인

 서로 다른 문화는 서로 다른 가치와 행동양식을 형성하며, 이는 건강의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

 

7) 정치적/사회제도 요인

 한 국가의 정치체계는 사회경제적 부문과 보건의료체계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전체 인구집단의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보건의료정책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조직과 전달체계, 사회보장 및 의료보험제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국민들의 건강-질병 결정요인으로 작용한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전 세계 인류의 건강 불형평(inequity) 문제에 관여하는 이러한 건강 영향요인들을 거시적 차원에서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관한 보고서를 보면, 3대 총괄 권고와 16개 영역에 걸친 56개 권고안을 제시하고 있다. 3대 권고의 첫째는 건강 불형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상적인 삶의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권력, 돈, 자원의 불공정한 분포의 개선에 대한 것이며, 셋째는 건강 불형평 문제를 측정하고 이해하며, 활동 및 개입효과 등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결정요인들은 한 국가 내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국가 간의 국제문제로도 부각되고 있다. 앞서 설명한 건강 결정요인들 중 유전적 요인과 생활습과 등 일부 개인적 요인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의 건강 결정요인들이 이 사회적 결정요인의 틀에 포함되며, 사회적 차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 의학의 분류  (0) 2023.11.13
1-2-2. 건강모형  (0) 2023.11.13
1-1. 건강상태의 개념  (0) 2023.10.30